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20: Ubiquitin editing에서 종양억제까지

전문가 제언
○ A20가 암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과 이에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국내 그룹은 몇 분들이 있고 이 분야로 7편 정도의 발표가 있다. 이 단백질 분자의 작용메커니즘이 알려진 것이 오래 되지 않았으며 국제적으로도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므로 더 많은 기초 및 응용연구가 기대된다.

○ A20의 작용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다. 이 단백질은 RIPK1 같은 기질 단백질의 polyubiquitylation 자리를 인식하여 K63의 polyubiquitin은 제거하고 K48에 새로운 polyubiquitin을 만들어 이 기질이 proteasome에 의하여 인식되고 분해되게 하는 일종의 ubiquitin editing 효소이다. 생체 내에는 다양한 반응을 촉매 하는 효소들이 있으나 이러한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는 없었다.

○ NF-κB 신호전달의 활성화에 관련된 단백질들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분해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하는 A20는 각 단계에서 아직도 밝혀야 할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고 이것들은 모두가 새로운 의약품 개발의 표적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우리는 간염이 후에는 간암이 되고 위궤양이 후에는 위암이 된다는 경험적 사실들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러한 현상들이 일어나고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A20의 발견과 이 단백질의 분자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만성염증관련 질환이 암으로 전환되는 것을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고 대처법을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 암 억제자 A20는 p53, PTEN 등과 더불어 암을 억제하고 있는 단백질로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할 수 있는 예가 된다고 보며 앞으로 관련 응용연구가 더욱 기대되는 분야이다. A20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세포를 이용하는 세포치료법의 개발에도 큰 기대가 된다.
저자
Sarah G. Hymowitz and Ingrid E. Wert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0
잡지명
Nature Reviews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2~340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