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가전해질 복층 박막의 다기능성 : 새로운 생물의학적 적용

전문가 제언
○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적층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다층박막 제조에 관한 연구는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micropatterning, 막, 전자소자분야, 디스플레이, 생물분야, 그 외에 고분자 퀀텀 닷(quantum-dot) 복합재료 부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류재호 등은 섬유공학분야에서 다가전해지질 다층 박막적용을 연구하고 있으며 2008년도에 고분자전해질의 LbL multilayering시 pH와 염 농도조건에 따른 섬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전북대학교의 김학용 등은 고분자 박막이 적층된 나노섬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경희대학교 디스플레이 재료공학과의 문지수 등은 2009년도에 OTFT Gate Insulator로서의 자가조립 TiO2 및 Polyelectrolyte Multilayer 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 충남대학교 양성윤 등은 바이오센서 다가전해질 다층박막을 이용한 바이오센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09년 나노기공을 가지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주형기질로 사용한 금속이나 졸-겔의 나노 입자의 합성과 그의 바이오센서에의 응용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다가전해질의 다층박막에 대한 연구를 폭넓게 그리고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으나 대학교 실험실에서 수행하는 연구로 상품화까지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아직 생명공학분야에서 조직공학적인 적용을 위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절실한 형편이다.

○ 임플란트의 관건은 장기적 사용에 대한 안정성이다. 아무리 훌륭한 기능의 임플란트도 단기간 사용 후 안정성이 떨어지면 쓸모없게 된다. PEM을 적용한 임플란트의 장기사용에 대한 안정성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Thomas Boudou, Thomas Crouzier, Kefeng Ren, Guillaume Blin, an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2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41~467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