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기기용 헬리컬 안테나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은 헬리컬 안테나 설계과정에서 코일과 케이스를 전도성 코드로 연결시킴으로써, 온도/습도/수압/공기압/전자기 방사/진동/가속도 등 주위 전파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안테나 파리미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제조된 점과 오퍼레이터가 케이스에서 커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범용의 나선형 스레드로 제조된 점에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안테나 설계 시 단말기 케이스의 영향, 안테나 크기의 소형화, 주파수 대역폭과 정합(bandwidth and matching) 및 안테나 방사형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기술에서의 안테나는 극초단파(VHF/UHF) 신호와 매칭되는 GPS/GNSS 신호 수신용으로 단파장을 갖고 있으며, 이동성을 위해 손목착용 정도 크기의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간섭성 안테나 방사패턴의 인체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테나 송수신전력의 정밀한 이득제어 및 설계가 요구된다.
○ 모바일기기용 안테나는 점차 외장형은 거의 자취를 감춘 상태이고 내장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단말기에 장착 시 지향특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기술을 응용한 패턴설계 기법으로 제작된 칩(Chip) 안테나 및 유전체를 이용하여 공진현상을 발생하는 DRA(Dielectric Resonator Antenna) 등 다중 안테나를 내장하여 전파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고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전 세계 모바일기기용 안테나 시장규모는 2008년 12억2,400만 개, 2009년 12억5,000만 개에서 2010년에는 13억100만 개를 예상하고 있으며, 2009~2013년까지 연평균 2.3%의 성장을 지속하여 2013년에는 13억6,700만 개의 대규모 시장형성이 예상된다. 이같이 다종다양한 디지털 모바일기기의 지속적인 시장수요 및 매출증가가 예상되나 국내 안테나요소기술 및 제품의 기술적 완성도 향상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 저자
- Katz Daniel 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7315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9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