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내 면역시스템과 공생세균의 상호작용 및 알레르기 반응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면역시스템과 장내 공생세균은 함께 장내 공생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는데, 알레르기의 조절에 크게 기여한다. 비만세포(mast cells)는 고친화성 IgE 수용체인 FcεRI를 발현하는데, 이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데 필수적이다.

○ 미생물 인식에 관여하는 분자의 발현은 장 상피세포에서 특이한 방법으로 조절되는데, 이러한 장 상피세포는 장 내강에 서식하는 공생세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과도한 염증반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생물 성분은 TLR(Toll-Like Receptors)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비만세포의 기능을 조절한다. 이러한 양상이 장내 공생시스템의 유지에 근거한 알레르기 조절을 위한 표적을 제공하게 된다.

○ 장내 면역시스템과 공생세균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것은 알레르기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요인이다. 미생물 인식 및 상피세포와 비만세포에서 알레르기 반응 유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전자 뿐만 아니라, 장내 공생시스템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강력한 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robiotics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비만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강력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 비만세포의 알레르기에 있어서 effector cells로 역할과 더불어 급성 감염의 예방 역할이 주된 생리학적 기능으로 밝혀지고 있다. 미생물 성분이 비만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항알레르기 목적으로 probiotics를 사용할 때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Bifidobacterium과 Lactobacillus 등의 probiotics에 의한 알레르기 억제를 입증하는 명확한 자료가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알레르기의 복잡한 병리학 때문에 실험에 사용된 균주 차이와 효과의 온화함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probiotics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해서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지만, 아직은 정확한 작용기작이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은 실정이다.
저자
Kyoko Takah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74(4)
잡지명
BBB(BIOSCIENCE.BIOTEC.BIOCHEM.)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91~695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