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 기초한 항공우주 공학 입문:모델 로켓
- 전문가 제언
-
○ 논문은 대학 학부의 항공우주 공학과에 모델 로켓 프로젝트를 도입하는 교과목 설정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론적 개념에서 실제 하드웨어를 통한 로켓 발사 체험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함께 기술적인 면을 진작할 수 있고, 팀워크라는 교육적인 면, 나아가 체계 공학까지도 배우는 효과를 얻는다.
○ 고도 측정이나 비추력을 얻는 방안으로 제시한 방안은 학부 수준에 맞는 현실적 방법임이 눈에 뜨인다. 시험 리그 외팔보에 걸리는 힘과 측정 자료의 교정 수순을 거쳐 발사 로켓의 비추력을 구하는 방법이나 두 곳의 삼각형(Sextants) 위치에서 각도기를 사용하여 고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은 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기본 원리에 충실한 측정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어서 눈여겨 볼 대목이다.
○ 우리나라에서 몇몇 대학의 대학원에서 연구 프로젝트를 통한 로켓 연소시험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실험실적 연구로 지상 연소시험을 수행하여 열화학적 특성과 내열성, 연소 효율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발사시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현재 정식 교과 과정이 아닌 학생들 동아리 형태의 모임은 있다. 60년대에 인하대학교에서 로켓발사시험을 한 것을 위시하여 90년대에는 물 로켓을 비롯한 로켓 발사대회가 열렸다. 그리고 2001년도에는 전국 대학교 로켓 연합회가 발족하였다. 이 모임이 주축이 되어 한국 추진공학회의 학술대회 학부 특별 세션에도 참가하고 로켓 발사대회도 하고 있다.
○ 그러나 학부의 정규 과정으로 로켓 모델 프로젝트를 수행하지는 않는다. 저변의 확대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특수 프로젝트에 한정하는 감도 있고, 안전에 대한 대책 등을 우선 생각하여야 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물론 모델 로켓 제작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부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그러나 항공우주 공학과의 큰 줄기가 로켓과 비행기라면 어느 학년에서든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하여 모델 비행 시험을 할 수 있으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 저자
- Sanjay Jayaram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6
- 잡지명
- Acta Astronautic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525~1533
- 분석자
- 이*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