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관련 증상의 영양학적 예방 및 치료방법과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알츠하이머병(AD)은 진행성 신경퇴화질병으로 senile β-amyloid plaque와 인지감소와 연관되어 있으며 기억력 장애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고기능의 장애로 특징되는 뇌의 진행성 질환이다. 성인의 해마의 신경생성은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지만 AD의 진행에서 해마의 신경생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AD 진행시의 환자 뇌 조직은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인 amyloid precursor protein(APP)와 presenilin 1이라는 두개의 유전자를 변형한 형질전환 쥐 모델에서 연구되고 있다.
○ AD관련 질환의 치료에는 신경독성을 변화시키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진다. 즉, 1. 베타아밀로이드 형성방해 2. tau protein과 ubiquitin의 생성방해 3. cholinergic 뇌 기능 증가 4. 흥분성신경전달물질인 glutamate의 조절이다. 또한 연구자들은 항염증제, free radical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손상 억제, estrogen사용에 의한 cholinergic 위축억제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 많은 약물이 치료제로서 시도되었으나 불행히도 아직까지 효과가 뚜렷이 입증된 약물은 없다. 다만 AD에서 나타나는 인지장애 증상이 주로 대뇌기저부의 콜린성 신경의 손상 때문이라는 가설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콜린성 약물들이 개발되었고 일부에서는 다소간의 효과가 입증되기도 하였다.
○ 현재 진행 중인 연구의 방향으로 비추어 볼 때 새로운 치료법으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는 여러 신경전달물질에 작용하는 약물을 함께 사용하거나 신경 성장요소 및 유전공학적인 치료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치료 외에 환경요법이나 행동치료가 조심스럽게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여러 종류의 기능성 성분의 복합물(NC)이 효능을 발휘할 가능성은 있으나 앞으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확실한 기전이 밝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FOSTER HEALTH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7865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1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