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상파 디지털방송 중계를 위한 갭 필러 기술

전문가 제언
○ 현재 세계 각국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2년 말을 목표로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의 완전한 전환을 위해서는 송신시설, 중계시설 및 수신시설 등 모든 방송계통이 완료되어야 하지만 그중에서도 중계시설은 고품질의 화면을 시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그러나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에서 일반 중계국으로 커버할 수 없는 난시청 지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디지털방송 보급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 갭 필러와 같은 무선중계소를 설치하여 수신감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갭 필러는 ①빌딩 등 건조물의 음영지역 ②지하상가, 지하주차장 및 지하철 등 전파차폐 공간 ③건물 내부의 약전계공간 ④산간지역 등 불감지역 ⑤SFN(Single Frequency Network) 지역이 중첩되어 생기는 난시청지역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위성 DMB방송, 지상파 DMB방송 및 SFN용 리피터(repeater) 분야에도 적용된다.

○ 일본에서는 난시청 해소를 위해 극미소 전력국의 기술 기준을 정하여 난시청지역 해소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고에서 기술한 갭 필러와 미니 중계소(mini-stellite system) 등인데 이러한 중계 장치를 지상파 디지털방송 전환 전에 전국에 도입하여 실행할 예정이다.

○ 우리나라도 2001년 본격적인 디지털 방송전환을 시작으로 2012년 말까지는 완전한 지상 디지털TV방송 전환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고 현재 일부 디지털TV 방송을 실행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중계기술에 대한 연구도 활발한데, ETRI는 지상파 디지털TV 방송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상파 디지털TV 분산중계기’를 세계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중계기를 이용하면 주파수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어 난시청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Syunji Nakaha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64(5)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72~676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