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상 디지털 방송 중계국 기술

전문가 제언
○ 지상파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DTTB,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으로의 전환이 세계적 추세이다. 이미 위성방송과 케이블 TV는 디지털 방송이 도입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선진국들은 이미 디지털방송 전환을 완료하였거나 곧 완료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2012년 12월을 목표로 지상파 디지털방송 전환을 완료할 예정으로 있다.

○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전송효율이 월등하여 동일 대역폭으로 고화질 TV(HDTV)의 전송이나, 다채널 전송이 가능하고 수신화질의 열화가 거의 없으며, 동일한 출력으로 보다 넓은 범위의 가시청권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장래 확장성이 우수하여 양방향 TV, 고속 데이터 방송 및 스크램블을 통한 유료방송도 가능하게 된다. 즉, 기존 화질과 음질을 넘는 고화질, 고음질화와 데이터 방송과 인터랙티브 방송으로 대변되는 다기능화, 그리고 강인성과 이동성을 살린 모바일 TV로 대표되는 방송의 보편화 서비스 등의 장점을 들 수 있다.

○ 현재 미국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에 의한 8-VSB, 유럽의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restrial) 및 일본방식인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가 세계표준으로 채택되어 있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기술 중에서 중계기술은 수신자 측의 TV화질에 큰 영향을 주는데 방송파 중계에서 간섭방해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보상기가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멀티패스 등가장치, 다이버시티 수신 장치 및 동일 채널 간섭제거장치 등이 필요하게 된다.

○ 우리나라는 미국방식인 ATSC(단일반송파를 이용한 8-VSB방식)을 1997년 11월 20일 국내 지상파 디지털TV 표준으로 채택하여 2012년 12월 31일 디지털 전환을 완료할 예정이다. 따라서 고화질(HDTV) 수신을 위한 중계기술도 중요한데 본고에서 기술한 방송파 중계의 간섭방해 해결을 위한 보상장치는 우리의 방송파 중계에서 문제점 해결에도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저자
Kazuhiko Shibu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64(5)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66~671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