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재생에너지 - 현황과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저탄소 녹색성장이 환경을 보호하고 경제개발을 지속하기 위한 대안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개발하여 화석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
○ 인도는 폭증하는 에너지수요 충족을 위해 앞으로 지금보다 3~4배의 에너지를 더 생산해야 한다. 현재 인도의 재생에너지는 1차 에너지소비의 약 33%를 차지한다. 지난 25년간 재생에너지 연구개발, 시범, 생산과 이용 등을 착실히 추진해왔다. 이 보문에는 인도의 재생에너지 이용현황, 주요성과, 미래 잠재력, 진흥정책 등이 요약되어 있다.
○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공급비율을 5%까지 늘린다는 목표 아래 일관된 정책을 펴고 있다. 선진국의 50~70% 수준이었던 기술력을 2011년까지 70~90%로 올리기 위한 기술개발 지원과 신재생에너지 시장창출을 위한 태양광주택 10만 호 보급사업 등을 추진 중이며 공공기관 신축 시 신재생에너지 관련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전문기업 제도, 핵심기술 연구센터 등 산업화기반 구축과 인력양성을 지원한다.
○ 인도정부도 우리나라처럼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을 위한 여러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 인도 고유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 위주로 시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규제보다 자발적 참여유도와 시장기능을 통한 피드백 메커니즘 위주로 정책을 시행하여 에너지, 환경, 산업 등이 조화되는 건전한 방향의 문제해결, 신재생에너지 이용개발 상의 난점에 대한 국민 이해증진 등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현실을 고려한 적절한 육성시책이라고 생각된다.
- 저자
- Ashwani Kuma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34~2442
- 분석자
- 김*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