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능성 환경 대응형 접착제의 설계법
- 전문가 제언
-
○ 최근 안전 보건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EU를 위시한 선진국의 관련 규제의 강화에 따라 많은 휘발성 유기물을 방산하는 접착제 업계에 있어서도 환경 보건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 그러나 한국합판보드협회 자료에 의하면 많은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는 국내 목질판상제품의 등급별 생산량을 보면 유럽, 일본 등에서는 실내사용이 금지된 등급 외 PB가 3년(2007~2009년) 평균 74%를 차지하며 MDF는 88%였다. 더 큰 문제는 지난 3년간 해외에서는 실내사용이 금지된 등급 외의 제품이 국내서는 실내 건축자재로 80% 이상이 사용되었다. 더욱이 수입 목질판상제품도 80% 이상이 등급 외로 분류되어 이들 제품군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한 대책 또한 시급하다.
○ 특히 1급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입주 후 5배 이상 높아지며 3년이 지나도 약 35%가 남는다는 연구 자료도 있다. 더욱이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이면 예외 없이 방출량이 많아진다.
○ 따라서 건강한 실내공기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포름알데히드계나 요소계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목질판상제품이 필요하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뒤떨어진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국내 규제와 기준을 정비하기 위한 관련 기관 및 업계 차원의 신속한 대응과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 이 리뷰는 일본접착제공업회 활동의 핵심인 포름알데히드의 등급부여 시스템, 4종 VOC의 배출규제에 대한 대응에 관해 접착제 조성의 설계자 입장에서 관련 지침을 정리했다. RoHS 규제에 있어서는 땜납 대체용의 도전성 접착제의 배합지침 및 난연성 접착제의 난연제 규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앞으로의 환경 대응의 일환으로서의 해체접착에 대해서도 그 기술적 방향성을 기술함으로써 관련 분야 기술 개발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WAKABAYASHI Kazut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8(2)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28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