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된 리파아제로 바이오디젤 생산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로도 불리는 지방산알킬에스테르는 친환경적이고 대체 액체연료로서 막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화학적 촉매나 리파아제에 의한 오일이나 지방의 에스테르교환으로 생산된다. 바이오촉매로서의 고정된 리파아제는 그 과정이 소위 ‘greener'이기 때문에 큰 관심을 끌고 있다.
○ 다양한 리파아제, 고정화 방법, 다양한 공급원, 짧은 사슬 알코올에 의한 리파아제 불활성화를 포함해 고정된 리파아제로서 바이오디젤의 생산 및 대규모 산업화의 현황에 대하여 본 논문은 검토하였다. 리파아제 고정화에는 흡착이 아직도 널리 쓰이고 있다.
○ 특히 대규모 산업화에 가장 흔히 쓰이는 리파아제는 2종류가 있다. 하나는 아크릴 수지에 고정된 Candida antartica 리파아제이고, 다른 하나는 값싼 직물 막에 고정된 Candida sp. 99?125 리파아제이다. 그러나 바이오디젤 생산비를 더 줄이려면 높은 활성과 안정성을 가진 새로운 고정화 방법 탐색이 필요하다. 촉매 리파아제의 비용이 감소되면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산업 생산도 유망할 것으로 생각된다.
○ 바이오디젤 공급원으로 동식물성 오일, 산업 폐기유 등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실정으로 볼 때 동식물 자원 확보에는 한계가 있고 산업 폐기유의 바이오디젤로의 활용은 환경보호를 위해 정책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세 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확보는 자원이 무한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망이 클 것으로 생각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연구소와 대학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저자
- Tianwei Ta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28~634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