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섬유소를 이용한 수용액 중 크롬의 제거
- 전문가 제언
-
○ 수용액 및 폐수로부터 중금속 크롬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은 대부분 원료가 야자각 또는 석탄으로 동남아시아 및 중국으로부터 원료인 차르(char)를 수입하여 국내에서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활성화된 활성탄 자체를 직접 수입한다. 그러나 중국 역시 최근 경제 성장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오염물 제거를 위한 흡착제 소요가 날로 증가하여 향후 이들 국가로부터의 수입 역시 원활치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므로 천연 자원이 풍부치 못한 우리의 입장에서 목재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를 원재료 그대로 또는 물리 화학적 개질에 의하여 새로운 저비용 흡착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재생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분야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배치 스케일의 실험실적 결과들이며, 크롬 제거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실험 조건이 서로 상이한 조건에서 수행됨으로 인하여 크롬 제거 능에 대한 성능 비교는 다소 어렵다.
○ 향후의 연구는 목재 재료들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밀 분석하여 우선, 개발 가능한 목재 재료를 일차 스크린한 후, 동일 조건에서 성능 비교 실험하여 새로운 흡착제로 개발이 가능한 목재 재료의 국내 생산 또는 발생량을 고려하여 pilot-plant 및 산업적 규모의 공정으로 연구를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 또한 기존의 연구 결과로는 아직 6가 크롬의 흡착 메커니즘이 명확히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산업적 활용에 앞에 개질 시 사용되는 화합물 및 처리 조건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제거 성능, 경제성 분석 및 흡착제로서 목재 재료 활용 시 발생 가능한 제반 문제 등도 사전 예측 및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P. Miretzkya, A. Fernandez Cirell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80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9
- 분석자
- 김*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