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연구에서 차세대 염기서열결정
- 전문가 제언
-
○ 더 빠르고 더 값 싼 DNA 염기서열결정이 가능한 최근 기술의 향상은 지금 생물학과 의학 연구를 몰아치고 있다. 이 재검토는 유전체의 염기서열결정과 염기서열재결정, 전사 프로파일링(RNA-Seq) 및 DNA-단백질의 상호작용(ChIP-Seq)과 후성유전체의 초고속 조사를 포함하는 최첨단기술인 차세대 염기서열결정(NGS) 승강대와 그들의 응용을 개관하였다.
○ 특히 NGS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 새로운 방법이 어떻게 노화, 수명 및 연령과 관련된 질병에 대하여 생물학과 유전학적 기작을 해결하는 데 도울 수 있는지에 집중한다. 마찬가지로 NGS 승강대는 전에는 손에 넣을 수 없었던 발견을 시작하고 그들은 또한 특히 자료의 가공, 분석 및 해석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게 만든다. 비용 감소와 용이한 통계 분석을 위하여 표적된 염기서열결정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유전체 전체 연구에서 생물정보학과 소프트웨어 문제점에 통계적인 어려움이 아직 남아있다.
○ 또한 기능강화, 전사조절 및 네트워크(network) 분석과 같은 대규모의 자료로부터 생물학적 통찰력을 수집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비록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NGS 분야에서 새로운 승강대가 곧 중심 무대가 될지라도, NGS에 의해 가능하게 된 접근방법은 장차 몇 년 동안 노화연구에서 유용하고 분자생물학, 유전학 및 체계생물학의 기반이 될 것이다.
○ 노화의 많은 양상이 출생 전후 장기간의 발육시기를 갖는 인간과 다른 종에서 성공적인 발육에 필요한 회복과정이 연속상태에 있게 될 손상반응에서 핵심 모듈(core module)이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후성 특징에 의하여 노화 및 연령과 관련된 질병의 생물표지자가 확인되어 이들 질병의 개량된 진단과 위험 예측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Joao Pedro de Magalhaes, Caleb E. Finch, Georges Janssen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15~323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