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 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BMI(Brain Machine Interface)기술은 뇌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해석해 활용함으로써 생각만으로 로봇이나 기계를 움직이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실현되면 장애인들이 생각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로봇이나 의수, 의족 등 신경 장애인보조기가 상품화되고 운동 대뇌의 정보를 단절된 척수 하단의 척수운동 세포에 직접 전달해 척수손상 환자 치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앞으로 10년간 한국 과학기술계가 집중해야 할 최고의 유망기술로 선정된 BMI 또는 BCI(Brain Computer Interface)기술은 뇌파를 통해 뇌 활동을 감지하여 생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방법, 특정 생각을 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혈류의 변화를 기능적 MRI신호로 검출하여 기계와 연동시키는 방법, 뇌에 직접 전극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 BMI 기술은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장치(fMRI), 뇌자도(MEG), 근적외선 뇌 계측장치(NIRS), 뇌파도(EEG) 등을 사용하여, 인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뇌파 및 뇌 혈류 계측장치를 사용하여 뇌 활동을 계측하고 여기에 신호처리를 실시해 사람이 의도하는 바를 검출하는 기술이다.

○ BMI기술의 진전으로 가까운 장래에 블르투스(bluetooth)와 같은 기능을 이용해 간단한 의도를 모바일기기나 컴퓨터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발성기관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의도를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 흔히 말하는 텔레파시 역시 가능해질 것으로 예측한다. 앞으로의 경쟁력은 속도와 용량과 같은 성능이 아니라 좀 더 지능적인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 국내 뇌 연구는 고려대 BLP(뇌신경언어처리)연구소, KAIST 뇌과학연구센터, 생체신호 처리기술기업인 락싸 연구팀, 숭실대학교 뇌신경공학연구실 등에서 전문분야별로 진행하고 있으나, 기술의 융합과 실용화를 목표로 국가 중심기관으로 한국뇌연구원과 같은 기구설립이 필요하며, 이 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R&D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대학, 병원, 연구소, 기업들의 컨소시엄 형태로 미래 선도형 국가 연구사업을 선택된 과제로 집중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Tatsuya Okabe, Kentaro Yam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5)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0~64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