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세대 로봇 공통 플랫폼 기술의 개발과 향후 과제

전문가 제언
○ 일본의 차세대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종합과학기술회의의 차세대 로봇 제휴 그룹에서는 로봇 연구자 및 기술자가 로봇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동안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공통 플랫폼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추진해야 할 급선무의 과제로 지정하고 있다. 아울러 로봇 연구자 및 기술자가 이러한 공통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차세대 로봇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차세대 로봇 공통 플랫폼이란 로봇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컴포넌트)와 이를 통합하는 표준화된 구조(프레임워크), 그리고 개발도구 등을 말한다. 이 플랫폼이 개발되면 로봇 기업은 독자제품 개발에 필요한 추가기술만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비용의 절반 이상이 절감되고 R&D 투자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공통 플랫폼을 탑재한 로봇 제품의 생산만 전담하는 로봇 생산 전문기업이 생기는 기반도 마련하게 된다.

○ 우리나라는 차세대 로봇 공통 플랫폼 개발을 위해 1단계로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2010년까지 3년간 국고 78억 원을 투입, 추진 중에 있다. 12개 참여 기관 중 학계에서는 강원대, 건국대, 광운대, 명지대, 서울대, 성균관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 제어-로봇-시스템 학회(ICROS) 등 9개이며, 연구소로는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3개이다.

○ 우리나라 정부는 2012년까지 로봇 공통 플랫폼 세계시장에서 30% 이상의 점유율을 선점하여 세계 1위를 달성하고 로봇 소프트웨어 관련 핵심 원천기술 20개, 로봇 개발을 위한 핵심 컴포넌트 200개, 9종의 이종 프로토콜 통합, 초경량 미들웨어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이번 사업은 특히 전략기술 개발사업 최초로 로봇 분야에서 시범 적용되는 사업형태로, 개발되는 공통 플랫폼을 원칙적으로 무상공개로 하여 로봇 기업이 자유롭게 제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이 분야에서 획기적인 기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Tomomasa Sato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49(6)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41~347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