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CCS기술 개발현황 평가
- 전문가 제언
-
○ 세계는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꾸어 에너지 구조를 혁신하고 저탄소 기술을 대량으로 보급해나가야 할 시점에 있다. 특히 국제에너지기구(IEA)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들은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위한 중요 기술의 개발전략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적 제안을 하고 있다.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은 지구온난화와 환경을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 중에서도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며, 따라서 많은 연구기관들이 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방향과 개발일정을 발표하고 있다.
○ 특히 최근에 IEA가 CCS기술의 개발전략을 위해 수행한 연구에서는 저탄소 기술을 위한 새로운 정책과 대책들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현재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경우에는 2050년도의 연간 CO2 배출량이 2005년도에 비해 130%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 CCS기술을 통한 CO2 감축을 위해서는 CO2를 대량으로 배출하는 발전, 철강 등의 사업장을 중심으로 CCS기술의 대대적인 보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CCS기술의 실증이 완료되지 않았고 상용 규모의 CCS 프로젝트의 수행도 많지 않은 실정이다.
○ 이 자료는 기술혁신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에서 미래 에너지 시스템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해 중요 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CCS기술의 미국 내 개발현황을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 및 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평가하고 있다.
○ CCS기술의 정책적 입장과 비용이나 안전성을 고려해야 하는 산업적 입장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CCS기술의 개발현황에 대한 평가의 연구목적은 이러한 입장 차이를 없애거나 또는 CCS기술의 보급에 장애가 되는 요인의 극복방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CCS기술은 우리나라에서도 녹색성장을 위한 주요 미래기술의 하나로 선정하여 적극적으로 개발해나가고 있는데, 미국의 CCS기술 개발현황을 평가한 이 자료는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Klaas van Alphen, Paul M. Noothout, Marko P. Hekkert, Wim C. Turkenbur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971~986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