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 재생 멤브레인 반응기에 염분의 영향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수돗물 정수 시스템에서는 거의 활성탄 처리방법을 택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MBR(membrane bioreacter) 시스템을 사용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멤브레인 시스템에서 엉킴이 발생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MBR 시스템에서의 엉킴은 자연계에 있는 생물 폴리머나 아교질 때문에 엉킴이 발생한다.

○ 활성 슬러지 프로세스에서의 충분한 산소 전이는 물리?화학적인 영향 인자로서 매우 중요하다. 바이오반응기 내의 물질 분산과 혼합을 위한 포기는 박테리아 신진대사와 오염물질의 산화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포기처리는 경제적 주요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되고 이는 프로세스 운전비용의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한다.

○ 1997년 Gutierrez-Correa and Tengerdy에 의하면 바이오매스 셀의 비교적 낮은 생산 증가를 보이는 일반배양에 비교하면 혼합배양은 높은 효소 생산을 유도할 수 있었다. 균사 및 비균사 미생물기구는 미진한 안정화나 탈수가 될 경우 폐수 슬러지 속에서 벌킹과 거품을 일으켰고 또한 슬러지 플록의 침전 특성을 방해하여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과잉성장으로 프로세스 운전을 어렵게 하였다.

○ MBR은 고액분리를 위해 막피 여과와 함께 생물적인 분해를 하게 된다. 막피 바이오반응기는 프로세스가 안정되어 있고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어 중수처리를 위한 특수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2005년 Liu 등은 저농도 중수처리를 위해 폴리에틸렌 0.4㎛ 공극 사이즈의 MBR을 사용하여 COD 130~322㎎/ℓ 유입액을 평균 18㎎/ℓ까지 감소시켰다.

○ 본고에서 HRMBR(high retention membrane bioreactor) 시스템은 일반적인 MBR 시스템과 비교하면 고품질의 물을 생산할 수 있었고 또한 사용수의 오염물 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서 경제적인 이익을 주었다. 생물학적 전망과 관련해서는 염류농도 증가를 미생물 공동체가 염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켰으며, halotolerant 및 halophilic 미생물기구의 풍토 순응은 증가하는 염도 환경에 잘 순화되었다.
저자
Winson C.L. La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4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40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