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기능 자기 나노입자의 합성과 생물의학에 응용

전문가 제언
○ 다기능 자성 나노입자(MFMNPs)의 합성은 신소재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의 하나이다. 자기특성과 다른 기능을 가진 MFMNPs는 다양상 영상탐침으로서 큰 잠재력을 입증하고 있다. 그것들의 다기능 표면은 생물과 약물분자의 합리적 활용을 이뤄 표적-특기 진단과 치료를 달성한다.

○ 이 리뷰는 먼저 금속 산화물과 합금의 MNPs의 합성 개요를 서술하고 그리고 코어/셀, 덤벨, 그리고 복합체 하이브리드형 MFMNPs 제작의 최근 개발에 집중하였다. 또한 다양상 영상과 표적-특기 약물/유전자 전달 응용에 대한 이들 MFMNPs의 일부 흥미진진한 예를 더욱 강조하였다.

○ 2010년 Serrano-RuiZ, David 등은 ”Synthesis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magnetic nanoparticles covalently bound to polystyrene-SiCl3 - poly(2-vinylpyridine)"을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48(14) 또한 Chen, Wei 등은“Multifunctional Magnetoplasmonic Nanoparticle Assembles for cancer Therapy and Diagnositics"을 Macromolecular rapid communications 31(2)에 각각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깊이 있고 광범위한 연구 특히 생물의학 응용에 집중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09년 “바이오-메디컬 자성 나노입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한국자기학회지 19(1), 그리고 “Multifunctional Silver-Embedded Magnetic Nanoparticles as SERS Nanoprobes and their Applications"을 2010년 Small, 6(1)에 각각 게재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앞으로 반도체, 자성, 그리고 압전의 광범위한 특성을 가지고 데이터 저장, 광전자, 자기-전기기계 그리고 생물의학 응용이 가능한 FePt/ZnO 코어/셀 나노입자의 합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동시에 자기분리, 광학검출 그리고 다양한 병원의 열 제거를 위한 다기능 Fe3O4-Aurod-Fe3O4 나노덤벨과 Fe3O4-Aurod 목걸이형 나노구조 복합 센서의 제작을 시도하여야 한다. 향후 MFMNPs와 관련된 연구를 권장한다.
저자
Rui H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22(25)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29~2742
분석자
문*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