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열 이용확대에 기여하는 건물 간 융통형 에너지절약 프로젝트
- 전문가 제언
-
○ 이 문헌은 독립된 건물에 태양열을 이용한 냉난방과 급탕시스템을 도입하는 한편 이를 근접한 다른 건물의 에너지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의 면적이용” 프로젝트를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소유자가 서로 다른 민간건물 간에 태양열을 이용한 에너지를 융통하는 사례는 이것이 일본에선 처음으로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 Kumaya시는 여름철엔 40.9℃의 더위와 연간 쾌청일수도 전국최고라는 지역특성을 가지고 있다. Tokyo가스 Kumaya빌딩은 남면이 국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루 종일 타 건물에 의한 방해가 없이 옥상에서 풍부한 일사량을 얻고 있다. 한편 국도 건너편엔 Hotel Marroad Inn이 인접해 있으며 이 건물은 연중 급탕열수요가 크고 또한 건물간의 열 부하패턴도 다르다.
○ 바로 이와 같은 배경으로 Tokyo가스 Kumaya빌딩(사무용빌딩, 연면적 1,400m2)에선 준공 25년 개수공사를 계기로 대규모의 열원개수 작업을 활용해서 태양열을 이용한 냉난방과 급탕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근접한 Hotel Marroad Inn까지 지하에 부설한 열 융통도관을 통하여 건물 간 열 융통을 실시 한바있다.
○ 그 결과 열 융통에 의한 양 건물 간 합계는 1차 에너지소비량으로 연간 약223GJ의 에너지절약효과가 기대되고 Kumaya빌딩에서의 열원개수 전후를 비교해 볼 때 개수대상범위를 기초로 하면 약78%의 에너지절약효과를 가져온 셈이 된다. 이는 대단한 절약효과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태양에너지이용확대에 기여하는 차원에서 일본의 최근사례를 참고로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는데 특히 중요한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도시정비 및 지역계획관련부서가 중심이 되어 건물 간 열 융통사업을 권장하는 한편 열을 공급하는 측과 공급받는 측의 이해득실을 조정해주는 적극적인 행정시책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 저자
- T ISHIKAW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62(7)
- 잡지명
- 省エネルギ―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0~34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