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Fugen 원자력발전소의 폐지조치 과정과 적용기술 및 관련 기술개발

전문가 제언
○ 일본은 1966년에 ‘핵연료의 안정적 공급과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일본 국내에서 핵연료주기의 확립’이라는 정책을 수립하고 우라늄 농축에서부터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까지, 그리고 우라늄/플루토늄 혼합산화물 핵연료(MOX)의 성형 가공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핵연료주기를 독자기술로 개발할 것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지금까지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다.

○ 일본은 신형전환로와 고속증식로를 이용하여 MOX 핵연료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키는 방안으로서, 신형전환로의 원형로로서 전기출력 165㎿의 Fugen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여 1979년부터 가동하다가 2003년 3월에 운전을 종료하였다. Fugen은 플루토늄 연소와 관련된 기술을 습득하고 후속 실증로 건설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 2003년에 운전을 종료할 때까지 Fugen의 평균 설비이용률은 62.2%이었으며, 772개의 MOX 핵연료집합체를 사용하였다. 이는 단일 발전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MOX 핵연료를 연소시킨 경우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형전환로가 경수로에 비해 MOX 핵연료의 연소에 더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Fugen은 ‘자체에서 연소한 MOX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추출한 플루토늄을 다시 MOX 핵연료로 재가공하여 반복해서 사용’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나 실제로는 그 가능성만을 보여 주었다.

○ Fugen은 일본에선 최초로 독자기술에 의해 건설 및 운전됨으로써 그 기술적 타당성은 입증하였으나 경제성 때문에 운전을 종료하였으며, 후속 신형전환로의 실증로 건설계획도 경제성 때문에 취소되었다.

○ 우리나라는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원전 1호기의 발전원가를 계산할 때부터 폐로비용과 방사성폐기물의 처리비용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 및 폐로에 대한 기준이나 경험이 없다. 일본 Fugen 원자로의 폐로 경험을 전하고 있는 이 자료가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 폐로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H. Nishi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6(8)
잡지명
原子力EY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18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