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풍력발전

전문가 제언
○ 기후변화와 유한한 1차 에너지원으로 중국의 현행 석탄발전 자원을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으로 변경시켜야 한다. 풍력발전은 그와 같은 문제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아직도 개선할 많은 여력이 있다. 중국의 풍력발전 현황을 보면 2005년에서 2008년에 이르는 기간에 설비용량은 503, 1337, 3304 및 6246MW로 각각 155.3%, 165.8%, 147% 및 89% 증가하였다. 2008년에는 이전에 설치한 총 용량을 능가하는 12.153GW가 설치되어 1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 목표치를 상회하였다.

○ 본고에서는 중국의 풍력과 관련된 풍력자원, 풍력터빈 산업 및 정부의 정책을 포함한 중요한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이 검토에 토대를 두고 중국의 풍력발전을 전망하였다. 해상 풍력발전이 중국의 장래에 밝은 미래를 약속하므로 그에 대한 특성도 토의하였다. 이와 같은 토의에 토대를 두고 중국의 풍력발전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정부의 대응책을 권고하였다.

○ 현재 포스트 교토의정서 체제에 맞춰 1990년 대비 2020년까지 유럽연합은 20%, 일본은 무려 25%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뒤늦게 합류한 미국은 2005년 대비 17% 감축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벌써 선진국들은 녹색성장을 무역장벽화하고 있고, 국제적 배출권거래제도도 정착 단계이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30%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하였다.

○ 풍력발전은 우리나라에서는 재생에너지 이용이라는 에너지원 다양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를 수출산업으로도 이용하고 있다. 금년 초 삼성물산과 한국전력이 캐나다 Ontario주에 2GW(2MW×1,000기)의 풍력발전소와 500MW의 태양광발전소를 2016년까지 완공하고 향후 한국전력이 20년간 운영하는 대단위 풍력발전 건설 및 운영계약을 체결한 바 있고, 현대중공업 군산공장은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최대의 풍력발전소(600MW/년) 제작설비를 갖추었다. 앞으로 중국의 대단위 풍력발전소건설에 국내 기업이 참여할 기회가 있기 바란다.
저자
Xiao Yu, Hang Q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32~2237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