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입자를 이용한 면역센싱
- 전문가 제언
-
○ 면역센싱 기술은 특히 최근의 나노재료 개발을 이용하였다. 광흡수와 분산과 같은 나노입자의 특성은 매력 있는 면역센싱 대안이 되었다. 나노입자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 수정 마이크로 천평, 형광분광학 등을 기반을 둔 면역분석에서 단백질 검출을 위해 기존 기법의 감도를 개선하고 있다.
○ 전기화학 기법은 역시 나노입자의 전기 특성을 이용한다. 일단 나노입자들이 라벨 태그 또는 변환기 표면 개질제로 존재하면 금속 기반 나노입자, 표면 임피던스 변화 그리고 컨덕던스 변화의 산화환원 반응 특성은 기술을 개선한다. 나노입자 기반 바이오센싱 시스템은 임상분석, 식품 특성, 안정 및 안전 분야에 대해 흥미를 갖고 기존의 재래 전략/분석에 우수한 검사와 뛰어난 대안으로 제공한다.
○ Shijin Sun 등은 “Nanosilver and DNA-functionalized immunosensing probes for electrochemical immunoassay of alpha-fetoprotein"을 2009년 Microchemica Acta 166(1-2) 그리고 ”Noval polymeric bionano composites with catalytic Pt nanoparticles label immobilized for high performance amperometric immunosensing"을 2010년 Fu, Y 등에 의하여 Biosensors & bioelectronics 25(7)에 게재하여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09년 “A possible Merge of FRET and SPR sensing system for Highly Accurate and Selective Immunosensing"을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30(12) 그리고 2010년 "Glass Slide-based Immunosensing for C-Reactive Protein using Quantum Dot-Antibody conjugate"을 산업식품공학 14(1)에 발표하였으며 면역센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좋은 선택도과 우수한 재현성 그리고 안전성을 보이며 여러 가지 α-태아 단백질(AFP)농도에 따라 임상 혈청 샘플이 전기화학면역센서 그리고 효소면역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AFP 고감도 검출을 위한 전기화학 프로토콜 제작을 적극 권장한다.
- 저자
- Alfredo dela Escosura-Muni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3(7)
- 잡지명
- Materials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34
- 분석자
- 문*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