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동시배양과 생물공학의 연관성
- 전문가 제언
-
○ 동시배양의 유리한 장점으로는 대량 및 정밀 화학제품, 효소, 식품, 식품 첨가제, 제약, 항미생물성 물질 및 미생물 연료 전지의 생산, 생물학적 치료 및 lignocelluloses의 분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동시배양은 생산수율의 증가, 제품 품질관리의 향상, 보다 저렴한 기질의 이용 가능성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상이한 미생물의 동시배양은 또한 새로운 생물공학적 물질의 동정과 개발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발효작용의 중요성 때문에 산업생물공학 분야에서 동시배양의 가능한 응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동시배양의 추가적인 잠재력은 산업 및 제약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신규 물질의 발견에 있는데, 여기에는 정밀 화학제품이나 항균 활성물질 및 동시배양에서만 생성되는 다른 2차 대사산물 등이 있다. 동시배양을 통제하면 산업적, 재생 가능한 및 통제된 조건에서 미생물 대사경로의 공동 상승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 동시배양은 장단점 모두의 가능한 상호작용의 복합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발효공정의 매개변수, 생성물질 및 가능한 생물학적 형질변환 등의 모든 양상은 동시배양 도중에 생육과 제품 생산을 통제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통제된 동시배양 공정을 개발하고 유리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를 찾아서 동시배양 중인 각 균주의 대사경로의 원하는 부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혼합배양 환경 내에서 상이한 미생물 사이의 상호작용이 항상 바람직한 결과로 유도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biofilms을 생성하는 미생물이 살균제와 항생제에 대해서 낮은 감수성을 나타내게 되면, 산업과 제약계에서 그들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다.
- 저자
- J. Bader, E. Mast-Gerlach, M.K. Popovic, R. Bajpai and U. Stah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109
- 잡지명
-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71~387
- 분석자
- 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