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규칙 산출량을 내는 제조 환경에서 건전한 생산계획- 제재소생산계획의 사례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원자제의 질이 불확실한 상황 하에서 다수기간 제재소 생산 계획이 분산성 측정을 달리하는 두 가지 건전최적화모델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단계 확률계획법 접근방법으로 더 건전한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이 수리모델을 캐나다 퀘벡에 있는 제재소를 원형으로 하여 여섯 가지 제품과 4가지 시나리오로 RO-(UPM-2) model과 RO-(UPV) model로 풀어 보았다.

○ 계산 결과 RO-UPV model에서 기대재이행비용은 목표치에 제한 받지 않는 것과 같이 사후주문/재고비용분산성은 건전 측정치의 증가가 이해 가능한 한 많이 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RO-(UPM-2) model에서 재이행비용 분산성에 대한 통제는 목표비용 뿐만 아니라 산출시나리오와 문제 제약에 의존한다.

○ RO-UPV model 경우에, 고객 서비스 수준의 건전성에 대한 의사결정자의 위험거부수준과 기대이월주문비 사이에 적절한 절충을 반영하는 건전성 모수의 값을 선택해야한다. RO-(UPM-2)의 해는 목표비용에 근접한 기대이월주문크기를 얻은 결과를 선택한다.

○ 두 RO models 모두 계획의 건전성, 원자재 소비, 기대이월주문/재고비용 간에 건전성 측정치의 값을 주는데 따라서 절충안 선택이 필요로 했다. 이를 기초로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는 이월주문에 대한 위험회피 수준과 총비용 증가 간에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상 결과는 제재소생산계획에서 발견되었지만, 더욱 확장하여 제조회사 생산계획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Masoumeh Kazemi Zanjani, Daoud Ait-Kadi, Mustapha Nourelfat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201(3)
잡지명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882~891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