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충제의 지하수나 대수층 침투는 공중보건과 먹이그물 혼란이라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 가상적 개념의 수준이다. 활성탄 붐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 관심이 높아졌다. 살충제 농약오염의 최신 현황 분석, 기본적 특징, 연구배경과 환경에 대한 암시를 정리하고 활성탄의 장점에 대한 기대와 목표를 요약했다.
○ 처리기술로서 다양하게 고안한 개발연구(침전, 퇴적, 부유, 여과, 막 처리, 생물학 과정, 화학반응, 이온교환)에서 여러 성분(가스나 액체)의 혼합은 고체표면 흡착을 가장 효과적이고 기본인 유망한 방법으로 본다.
○ 활성탄은 넓은 다공성 표면, 조절 가능한 공극구조, 열 안정성, 낮은 산/알칼리 반응성 흡착제로서 용액의 유기·무기 오염물질 제거에 탁월하다. 교반 시스템에서 분말활성탄은 오염물질을 36%까지 제거한다.
○ 천으로 된 활성탄은 Ametryn, Aldicarb, Dinoseb, Diuron을 85% (421.58mg/g)까지 제거한다. 살충제 구조의 Alkyl 치환기와 방향족 핵 사이의 힘을 일차 일력으로 추정한다. 흑연 층의 산 그룹 양성자를 늘리며 정전기적 에너지 최소화로 흡착용량을 극적으로 높인다.
○ 전구물질로 적합하며 재생 가능해서 저렴한 재료(야자껍질, 대나무, 토탄, 갈탄, 곰팡이, 이끼, 나무껍질, 옥수수 속, 소나무 톱밥, 쌀겨, 사탕수수 깻묵, 홍차 잎)의 개발연구를 많이 했다. 기간, 장소, 배경, 환경효과, 기술적 타당성, 사회적 수용성, 경제적 여유(화학물질, 에너지 소비, 처리시설, 노동력, 수송, 수집과 관리)는 처리용량, 신뢰성, 지속적 방법을 결정하는 핵심과제다.
○ 이런 활성탄흡착제 사용은 우리도 일반적이고 대중적이다. 그러나 더 광범위한 고성능 흡착조건 개발은 기업의 영세성으로 진척이 더디고 어렵다. 활성탄의 고비용 때문에 선진국에서 시작한 위의 저렴한 흡착제 개발은 희소한 정보와 여건조성 미흡으로 아직 요원한 상태다. 이의 개발이 유기폐수나 중금속 폐수처리의 활로이기에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