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phingosine-1-phosphate와 암

전문가 제언
○ S1P와 암에 관련하여 국내의 연구자들은 많지 않다. 그러나 이 분야는 세계적으로도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판단된다. 더욱이 국내 벤처회사의 한 곳에서는 SK1의 활성화제를 개발하여 화장품의 첨가제로 판매하고 있다.

○ S1P의 대사과정에 관련된 여러 유전자들을 통하여, 또 이것의 수용체를 통하여 암의 발생, 암세포의 이동, 성장, 생존, 염증발생, 혈관신생 등 다양한 분야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다.

○ 선진국에서는 발 빠르게 이에 관련된 다양한 표적에 대하여 저해제와 활성화제를 개발하여 암을 치료하는 의약품으로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 우리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신약개발의 표적으로 삼는 것은 좋은 방향으로 생각된다.

○ 한 국내 벤처회사가 SK1의 활성화제를 개발하였고 이것을 화장품의 첨가제로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은 희망적이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피부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에 대한 보다 철저한 기초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해로운 독이 곧 유익한 약이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좋은 예가 된다고 본다.

○ 특히 S1P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하여는 보다 깊은 기초연구가 필요하며 이와 유사한 또 다른 sphingolipid들이 있지는 않은가?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사는 metabolomics를 통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으며 광범하게 진단 등에도 이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S1P의 작용이 세포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이런 점에서 각종 암세포는 별도로 연구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며, 특히 세포 내에서도 SK1, SK2의 존재 위치가 다르며 환경변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은 놀랍다. 후생유전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도 시급히 필요한 분야로 생각된다.
저자
Nigel J. Pyne and Susan Pyn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0
잡지명
Nature Reviews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89~503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