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정지영상 DB의 검색
- 전문가 제언
-
○ 촬상 소자의 집적도가 날로 높아져 이미지의 화소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지영상 한 매당 할당되는 메모리도 수십 메가바이트에 이르는 등 메모리의 소요 용량도 매우 커졌다. 또한 스틸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영상의 수가 수천, 수만 매로 늘어남에 따라 영상의 저장 관리와 검색에도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 일반 문서검색에서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검색이 쉬워지나 영상에서는 특정한 형상을 찾아야 하는데, 텍스트에 의존한 키워드만으로 정확한 영상을 찾아내기는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수많은 정지영상 가운데서 특정의 영상을 고속으로 효율성 있게 검색하기 위해 물체 인식기술을 통하여 CBIR(Content-Based Image Retrieval)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물체의 영상을 DB로부터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검색 방법에는,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량에 따른 색인을 붙여 시각적인 단어를 추출해서 일치하는 시각적 단어의 수에 따라 영상의 유사도를 추정한다. 또한 부정확한 결과에 대한 검증 시스템을 도입하여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물에 대해서는 다시 상위 리스트를 통하여 다른 특징 량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검색의 정밀도를 높여가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이미지 파일의 크기가 커지고 저장하는 영상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검색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오늘날 정보통신의 발달로 대용량의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의 전송 및 수신이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저장된 수많은 대용량의 영상 파일을 DB에서 찾아내는 검색에도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영상의 선예도 향상 기법, 노이즈 제거법, MPEG-7을 이용한 자동영상 해석 등에 관한 연구 및 특징추출을 통한 고속 영상검색 기법에 관한 연구와 특허출원이 의료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향후 영상관련 자료의 신속한 검색과 관리로 영상문화에 새로운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Koichi Kis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4(2)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2~197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