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로부터 지질의 생산 공정
- 전문가 제언
-
○ 화석자원의 고갈과 환경문제로 인해 재생연료의 생산과 바이오매스 이용이 관심대상이다. 바이오매스를 재생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은 당으로 전환비율은 물론 제품의 수율이 낮고 이에 따른 경제성이 낮다는 문제로 산업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발명에서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바이오디젤 또는 그린연료를 고효율, 고수율로 제조하는 공정기술은 우리에게 새로운 관심을 갖게 하는 데 충분하다.
○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는 직경 1㎜ 이하로 전처리 분쇄공정과 산성 가수분해를 거치고 미분해된 헤미셀룰로오스 성분은 효소 가수분해하여 분해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재생연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전처리, 산성 가수분해, 효소 가수분해, 효모 발효 및 고체 상의 오일을 추출 회수방법 등은 특허 청구내용으로 바이오연료 제조에 관심이 많은 우리나라에 크게 참고가 될 것이다.
○ 전-처리된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는 가수분해로부터 배출물의 잔류 당의 함량을 더 낮추고 반면에 전체 당의 전환비율을 더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바이오연료의 생산수율을 높일 수가 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바이오매스, 특히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를 원료를 하는 바이오연료 제조를 산업화하기 위하여 생산수율을 높이고 공정을 간단히 하여 바이오디젤의 생산단가를 낮추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현재 바이오연료 제조기술이 상용화되고 있으나 아직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많다. 목질섬유소 바이오매스의 전처리는 섬유-기반의 바이오매스를 균질하고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효과적인 가수분해를 통해 바이오연료로 회수한다. 또한 유기산을 회수하여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중화공정과 여기에서 생기는 염의 처리공정이 생략되어 우리나라에서 폐농산물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제조에 중요한 참고기술이 된다.
- 저자
- ENI S.P.A.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4605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