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의 제조공정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 바이오디젤의 상업적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NaOH, KOH 등과 같은 촉매를 이용하여 동식물성 유지에 함유된 트리글리세리드와 알코올을 반응시킴으로써 바이오디젤과 함께 비누화 물질, 글리세롤 기반의 에스테르로 구성된 2상의 혼합물이 생성된다. 2상의 혼합물은 물에 의해 세정함으로써 바이오디젤이 분리, 회수된다. 이러한 기존의 공정은 번잡하고, 복잡함은 물론 비용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바이오디젤의 생산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또한, 종래의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경우는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생산량 대비 약 10% 정도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부산물 글리세롤의 처리가 큰 과제이다. 특히, 이 부산물 글리세롤은 지방산 등 여러 가지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산업적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제공정의 개발과 함께 응용분야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이 발명(WO 2010/059694 A1)에서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반응조건은 대기 온도 및 압력하에서 보다 짧은 반응시간으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 제조방법은 종래의 제조공정에서 바이오디젤 생산량 대비 필연적으로 부산물로서 생산되는 약 10%의 글리세롤 생성량을 절반 이하로 감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제조공정은 부가적인 정제설비 비용의 감축과 생산수율의 향상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 향후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오디젤의 수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바이오디젤 제조업체는 물론 국가적인 차원에서 바이오디젤 제조용 원료의 다변화 노력과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용도 개발이 중요하다. 즉, 우리나라의 지형적 조건을 활용한 해조류 등 식용자원과 경합하지 않는 비식용자원의 개발과 함께 부산물인 글리세롤의 산업적 이용을 위해 정제비용이 비싸지 않은 미정제의 글리세롤을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저자
- Bio-Alternative, LL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5969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