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 플라스틱 제조기술
- 전문가 제언
-
○ 폴리카보네이트(PC)는 투명성, 내열성, 내충격성, 치수안정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전기전자나 OA기기, 자동차, 산업기기, 시트 필름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매년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도 프린터, PC, 액정 TV 등의 부재 리사이클에 대한 노력이 활발해져 재생 PC나 생분해성 수지와의 합성제품 개발로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중국, 대만, 동남아시아는 OA기기나 광디스크의 생산 거점이 미국, 일본, 유럽에서 이전되고 PC나 액정 TV의 생산거점이 특히 중국, 대만에 집중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자동차의 사이드윈도나 선루프에서 PC의 채용이 기대된다. 2007년 세계시장 규모는 물량기준 300만t, 금액기준 15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후지케이자이는 오는 2013년까지 물량은 415만t, 금액은 217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 PC 수지는 고광택성, 고투명성, 고내열성 등의 특징 때문에 아기젖병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PC 수지에 함유되어 있는 BPA(Bisphenol-A)가 대표적인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line disruptors)로 알려져 있어 폴리미래(주) 등에서 고기능 PP 수지로 개발 대체하고 있고 식품용기로의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 특허청(청장 이수원) 자료에 의하면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에 관련된 특허출원은 2009년까지 모두 450건이 출원되었는데 그 중 약 80%에 달하는 347건이 2000년 이후에 출원되었다. 특히, 연료유 생산과 고체연료로 제조하는 방법은 1999년 이전 30%(31건)에서 2000년 이후 44%(152건)로 증가하였는데 고유가 시대를 맞아 폐플라스틱으로 연료유를 제조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결과로 파악되는데 이는 유전(油田)은 반드시 먼 사막에 있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을 적극 개발하고 각 가정은 폐플라스틱의 수거에 적극 참여하여 전 국민이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통한 유전(油田)개발 운동’에 동참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Yasuhito Inaga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1(7)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2~66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