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학과 의학에서 금 나노입자의 활용

전문가 제언
○ 금 나노입자의 표면변환 화학의 결과로 다양한 리간드들에 의한 올리고핵산, 단백질 항체 등의 접합이 가능하게 되면서 금 나노입자의 활용이 더욱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금 나노입자의 접합체가 세포내로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생명과학 분야에서 금 나노입자의 활용에 대한 연구들이 활성화 되었다.

○ 국내의 대표적 연구로서 서강대학교의 강 태욱 교수는 세포내로 들어간 금 나노입자가 주위의 물질과 반응하면서 달라지는 스펙트럼으로부터 세포내의 위치와 주변 원소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금 나노입자의 특성 연구는 항암제 같은 신약개발에 활용되어 다양한 후보물질로부터 세포내에 잘 침투하여 암 세포에 효과적인 화합물을 식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한남대학교 등에서도 금 나노입자의 합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국립독성과학원에서는 금 나노입자의 독성에 대한 연구 결과 실험동물의 체내에 투여된 입자가 간과 비장에 흡수 분포되는 과정을 최초로 밝히고 동시에 이들의 제거 메커니즘이 대식세포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금 나노입자 접합체의 독성은 표면 변환된 기능성이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이므로 개개 화합물들에 대한 연구들과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명공학연구원은 표준화된 금 나노물질 제조 및 이등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에 대한 시험방법을 작성하였다.

○ 기능성 금 나노입자의 제조와 활용에 대한 연구는 국내/해외에서 대단히 활발하게 계속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는 다가/복합 나노물질이 세포섭취와 효율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재료과학, 생물학, 합성화학, 의학 등에 걸친 융합연구의 성격으로 우리나라에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David A. Giljohann, Dwight S. Seferos, Western L. Daniel, Matthew D. Massich, Pinal C. Patel, and Chad A. Mirk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49
잡지명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280~3294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