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현장감 텔레워크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텔레워크란 말이 사회에 인지되어 상당한 세월이 경과되었다. 그 사이에 브로드밴드나 이동체의 서비스는 고속화?고도화하여 이용자는 어디에서나 사용하고 있는 디바이스나 응용의 종류에 관계없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게 되었다.
○ 초 현장감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응용으로 원격지에 있으면서 사무실에 있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의 실현이 기대된다. 사무실과 같은 감각으로 전달하는 데는 이용자의 능동적인 의사에 의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 센서를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정보를 얻고 영상이나 음으로 연출하여 현장감 이상의 텔레워크 환경을 실현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텔레워크를 위한 기술을 소개하였다.
○ 유럽에서는 EU가 중심이 되어 텔레워크를 추진하고 있으며 eWORK라 호칭하고 있다. 근래 EU 각국에서는 세제 우대조치 등으로 현재 침투율이 약 10%이나, 2020년에는 약 20%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근무형태는 재택근무에서 모바일근무로 비율이 이동하고 있다. 또 영국 등에서는 고령자나 전문적인 일을 하는 텔레워커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 미국에서 민간기업의 텔레워크 비율은 2007년 약 15%로 2004년에 비하여 30% 증가하였다. 텔레워크 장소는 자택, 거래처, 차중, 호텔, 모텔 등이며 텔레워커는 관리인, 전문직업인이 많다. 독일의 경우 공무원들의 재택근무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에서 텔레워커는 2002년 취업인구의 약 6%이며 e-JAPAN 전략Ⅱ, u-JAPAN 추진 2006 계획 등 정부방침으로 텔레워크 추진포럼도 발족하였다.
○ 근래 텔레워크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사회적 변화와 기업의 필요성 등 양면성이 있다. 텔레워크의 장점은 교통혼잡 완화, 위기관리 대책, 사무실비용 삭감, 인적확보 등이다. 텔레워크 시스템으로 ReSEAT 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제도가 텔레워커의 좋은 예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이러한 제도가 기관이나 기업에 확산되어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MMMasato NONA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93(5)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15~419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