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로봇의 신산업화
- 전문가 제언
-
○ 차세대 로봇은 제조 현장에서 사람과 격리된 환경에서 이용되던 산업용 로봇과는 달리 인간과 공존하는 같은 공간에서 활용되는 로봇이다. 일본에서는 사람을 대신해서 일을 해주는 차세대 로봇이 보급될 경우 2025년경에는 352만명 분의 노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력감소는 2025년에 427만명 분의 노동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로봇의 효과로 부족한 노동력의 80%는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RT 미들웨어(RTM: Robot Technology Middleware)란 로봇 기능요소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여러 개 조합한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말한다. RT 시스템을 구성하는 RT 기능요소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 로봇 구성요소로서 서보 모터, 센서, 카메라 및 이를 모듈화한 이동 로봇, 로봇 암 등을 말한다.
- 또한 제어 알고리즘, 화상처리 알고리즘 등의 소프트웨어만으로 구성된 것들도 RT 기능요소이다. RT 미들웨어는 이렇게 모듈화된 RT 기능요소를 계층적으로 조합한 것으로 로봇 시스템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개발기간 및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차세대 로봇이 사회에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로봇 요소기술의 소형경량화, 로봇 요소기술의 표준화 및 규격화, 로봇 이용기술의 확산, 인간에 대한 안전성 기술의 확립, 다양한 환경에 확실한 적응을 하는 로봇 개발, 기술경영(MOT: Management Of Technology)의 도입과 MOT 교육 로봇 산업 촉진 등의 과제가 해결되어야 명실상부한 로봇 실용화 시대가 될 것이라고 본다.
○ 궁극적으로 로봇 산업은 국가 경쟁력이다. 기술적인 면에서도 모든 공학기술이 복합적으로 연결되고, 활용적인 면에서도 전 산업분야에 파급되기 때문이다. 로봇의 세계시장을 선점하는 나라가 전 산업의 주도권을 잡게 될 것이다. 무한 경쟁시대에서 우리나라가 반도체, 자동차, 로봇의 3대 산업 강국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로봇 산업을 국가 장래를 좌우할 정책적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Shoichi Ham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4(5)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9~24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