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전변환에 이용되는 블록공중합체

전문가 제언
○ 블록공중합체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종류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블록이 공유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고분자물질로서 블록공중합체는 제어가 가능한 나노스케일로 자기조직화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반도체 또는 구조 조정자로서 태양전지나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서로 상용성이 없는 두개 이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공중합체는 고화되면 마이크로 상분리를 일으키는데 상분리 거동은 고분자 사슬을 이루고 있는 블록 길이의 비, 상호작용의 크기와 블록 수에 의존되는 자기조직화 과정을 통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스케일의 도메인을 형성한다.

○ 최근 정밀라디칼중합, 리빙이온중합 등의 새로운 중합방법이 개발되어 불록공중합체의 블록의 상대적인 길이와 형태 제어가 가능한 정밀중합법이 개발되어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블록공중합체의 박막 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블록공중합체의 물성 연구를 촉진시켰다.

○ 불록공중합체는 나노미터로부터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길이 스케일로 위계적인 질서를 가진 나노구조물이 되며 이들 나노구조물들은 나노리소그래피, 조절된 의약품의 방출, 광전지로부터 유기 발광다이오드 구축재료로 이용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정밀라디칼중합에 의한 블록공중합체의 합성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결과는 태양전지나 유기 발광다이오드 재료의 개발로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 본고에서는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직화가 나노구조물의 형상과 디멘젼에 미치는 영향과 이상적인 모폴로지를 가지는 나노구조물의 구축방법과 구조와 물성, 특히 광전자 물성간의 관계를 밝히고 효율이 높은 장치의 개발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광전자부품 제조에 종사하는 연구자에게 매유 유익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Ioan Botiz, Seth B. Darli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3(5)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2~51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