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기술과 안전 및 안심 사회

전문가 제언
○ 일본의 독립법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는 복지, 가사, 안전 등의 생활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한 생활지원 로봇의 실용화를 추진하기 위해 2009년부터 관련 프로젝트를 개시하였다. 서비스 로봇의 실용화에서 최대의 과제인 안전성 문제에 대해서 향후 5년간 검증과 기준을 확립하여 국제표준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로봇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접촉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대인 안전기술 및 안전기준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고, 민간기업의 독자적인 판단에 맡겨져 있어 안전성에 대한 불안 때문에 본격적인 보급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 안정성 기준의 국제표준 취득을 목표로 2013년까지 추진될 NEDO의 이번 프로젝트 연구개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생활지원 로봇의 안정성 검증수법에 대한 연구개발 : 일본자동차연구소, 산업기술총합연구소, 노동안전위생총합연구소, Nagoya대학
② 조종 중심 이동작업형 생활지원 로봇의 개발 : Panasonic
③ 자율 중심 이동작업형 생활지원 로봇의 개발 : Fuji중공업, 종합경비보장(주), Hokuyo전기, Mitsubishi전기
④ 인간장착형 생활지원 로봇의 개발 : Tsukuba대학, Cyberdyne(주)
⑤ 탑승형 생활지원 로봇의 개발 : Toyota자동차, 장수의료센터, 포링크시스템즈

○ 머지않아 로봇은 사회전반에 걸쳐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 지금의 자동차나 핸드폰처럼 국가산업의 대동맥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는 다시 관련기술의 개발을 촉진시켜 폭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를 대비한 연구가 여러 기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일본과 미국에 비하여 아직도 상당한 격차가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강점인 반도체 및 IT기술을 바탕으로 로봇 산업의 원천기술 확보와 급변하는 미래 첨단기술에 대비하는 국가차원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련기업 육성과 우수인력 양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Motoki Korenag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64(5)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2~18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