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속측정에 의한 주철의 재질판정
- 전문가 제언
-
○ 주조제품의 품질관리에서 화학성분은 시험분석 장비의 발달과 품질관리 기법으로 품질확보가 비교적 수월하나 내부결함, 외관에 따른 표면관리 및 치수 결함 검출에는 거의 전량 검사를 해야 하므로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이 되며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 제품에 음파를 이용하여 음파전파속도의 차별화로 재질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구상흑연주철과 CV주철의 구상화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음속과 인장강도, 항복강도, 경도와의 관계를 사전에 파악하여 제품 검사를 간략화할 수 있음은 주철제조 공장에서 대단히 능률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라 하겠다.
○ 우리나라의 철강주물의 재질별 생산현황은 2006년에 전체 생산량 171만 1천 톤 생산에서 회주철 98만7천 톤(56.0%), 구상흑연주철 57만6천 톤(32.7%)으로 세계 철강주물 생산국 중 10위권에 속하며 특히 2001~ 2006년간의 구상흑연주철의 생산은 국내 전체 철강주물 생산량 증가 9%를 앞지른 12%로 생산되고 있다.
○ 유럽 국가들과 일본 등에서는 구상흑연주철의 적용분야를 중전기나 제철기계 분야로 한층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에서는 CV흑연주철의 생산이 높아지고 있음을 볼 때 우리나라도 회주철의 수요보다 구상흑연주철과 CV흑연주철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재질관리의 간편성으로 구상흑연주철과 CV흑연주철의 생산량이 증가하면 음속을 이용한 재질 검사장비의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 국산장비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S. Yam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51(5)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5~20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