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N의 발전에 기여하는 광 액세스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차세대 네트워크(NGN : Next Generation Network)가 지향하는 고품질, 고신뢰의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 광 액세스(optical access) 기술을 들 수 있다. 광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트리플 플레이 서비스(전화, 고속 인터넷, TV)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 광 액세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FTTH(Fiber To The Home)를 들 수 있으며, 현재 일본에서는 FTTH가 1,500만 회선 이상으로 DSL(Distributed Subscriber Line)을 추월하고 있다.
○ 전원 공급이 불필요하며 스프리터(splitter)를 이용한 PON(Passive Optical Network)이 개발되어 FTTH로 주목을 받고 있다. PON에는 GE-PON과 G-PON이 있으며,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GE-PON이 우세하고,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는 G-PON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일본에서는 최근 차세대 이더넷을 실현하기 위해 3개의 주요기능을 갖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즉 (1) 이더넷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기술로 보수 운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2) 중계망에서의 ERP(Ethernet Ring Protection) 기술, (3)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리던단시(redundancy)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WDM-PON(Wave 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을 개발하였다. WDM-PON은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고 보안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어 차세대 광 액세스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이는 초고속 인터넷의 실현에 중요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M. Ootsuk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22(2)
- 잡지명
- NTT技術ジャ-ナ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8~52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