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탄 플라이애시의 재활용 동향

전문가 제언
○ 석탄화력발전소 등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시설에서 발생된 FA가 과거에는 처리하기 곤란한 산업폐기물이었다. 그러나 콘크리트와 동질성이고 골재로 이용하면 내구성과 시공성 및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고부터 대형 레미콘업체들 간의 FA의 확보경쟁이 가열되었다.

○ 본 보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FA는 콘크리트의 혼화제, 폐수 및 연도가스 처리용 저가형 흡착제, 건설용 재료, 경량골재 등의 많은 용도에 이용된다. 이것은 환경오염원의 처리에 드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고무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현재 FA와 제철소의 부산물인 고로슬래그는 시멘트 원료, 콘크리트용 혼화재료 등으로 50% 정도가 재활용되고 있지만, 나머지는 해안 및 육상 매립에 의해 처분되고 있어 매립지확보를 위한 경제적 부담뿐만 아니라 매립 시 발생되는 침출수와 미세 분말로 인하여 많은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도 규격(KSL 5405)로 정하여 건설재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 되어 있다. 주로 콘크리트혼화제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시멘트에 FA를 미리 혼합한 플라이애시시멘트도 제조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고, 지구온난화와 같은 글로벌한 과제에 시멘트산업이 배출하는 CO2 저감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석탄회 발생량은 2007년 현재 601만 톤이고, 이는 증가되어 금년(2010년)에 836만 톤에 이를 것으로 발표되었다. 이 중에서 재활용율은 대략 70%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990 만 톤(2003년)의 석탄회가 생산되어 이 중 약 80%를 재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석탄회재활용 율을 증가하여 매립장의 연명 화와 자원절약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저자
M. Ahmaruzzam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6
잡지명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7~363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