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옥신제초제 작용모드와 그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 제초제는 주로 식물성장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각종 효소나 대사경로를 교란시키거나 억제하는 방법과 잡초조직을 손상시켜 접촉과 동시에 고사시키는 접촉성제초제(contact herbicide)는 약효가 빨라 국내 사용자들은 이 계열의 농약을 선호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제초효과는 옥신제초제와 같은 침투선택작용(systemic and selective action)이 효과적이어서 이 계열의 농약이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 식물호르몬과 같은 슈퍼옥신의 합성화합물은 가장 성공적인 제초제로 농업에서는 지난 60년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in planta에서 천연옥신 IAA(indole-3-acetic acid) 보다도 안정되어 곡물작물의 쌍떡잎잡초를 선택적으로 고사시켜 초기 개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아왔으며 현재도 이 점에 주목하고 있다.

○ 현재는 phenoxycarboxylic acid, benzoic acid, pyridinecarboxylic acid, aromatic carboxymethyl 유도체 및 quinolinecarboxylic acid와 같은 다양한 계열의 농약이 개발되었지만 2,4-D나 2,4,5-T와 같은 phenoxy acid 계열은 잔류성이 문제가 되어 국가에 따라 사용을 제한하거나 잔류허용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다.

○ 본고는 옥신제초제가 식물성장을 완화시켜 고사시키는 3단계 대사와 생리과정을 비롯하여 비교적 최근 개발된 quinolinecarboxylic acid 계열의 quinclorac(C10H5Cl2NO2) 추가 제초효과를 기술하고 있다.

? 잡초에서의 대사와 생리과정, 옥신인식과 시그널 및 유전자 발현, 호르몬 상호작용과 성장반응, 식물에서 HCN 발생, 에틸렌 바이오합성 부산물의 시안화합물(cyanide) 및 식물독성을 요약함으로서 제초제 작용모드 이해에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 우리나라와 같은 고령화 사회의 농촌에서는 제초작업을 각종 제초제에 거의 의존하고 있고, quinclorac을 비롯하여 이 계열의 농약은 대부분 국내에도 등록되어 각종작물에서의 제초효과와 잔류성이 검토되고 있지만 과다사용으로 인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고려해야 한다.
저자
K. Grossman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66(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3~120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