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농약설계에서 할로겐치환체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농약개발은 방제대상 해충이나 병을 야기하는 각종 진균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작용모드의 활성성분(active ingredient, AI)을 합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환경이나 인축에 미치는 유해리스크 및 유용곤충이나 작물에 미치는 2차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하는 부담을 안고 착수하게 된다.
○ 지난 30년간은 농약 R&D에 할로겐 화합물 사용의 현저한 확대가 목격되었고 AI에 할로겐 도입은 최적의 약효와 환경안정성, 사용자친근감 및 경제적 실용성을 갖는 현대 농약의 중요한 기본개념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어 이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특히 할로겐 친환 핵심 중간물질의 합성법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할로겐 원소의 F, Cl, Br, I 원자뿐만 아니라 할로겐 함유 치환체를 적절히 활용하면 기존 농약의 작용모드 자체를 변화시키거나 활성을 증강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면서 신규농약 개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신규 후보농약을 보면 대부분 할로겐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도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기 때문으로 각종 병해충 내성이 신속히 진화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보다 강력한 바이오 활성의 작용모드를 갖는 농약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 일부 유기농업이 수행되고 있지만 여기에도 바이오살충제나 잔류성이 낮은 저 농약 재배가 우세하고 근본적인 작물보호 대책은 농약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보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농약을 개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
○ 현재도 우리나라 농약합성 기반은 매우 빈약한 실정으로 대부분 원제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일부 연구소와 기업이 농약개발에 착수하여 LG 생명과학의 pyribenzoxim, flucetosulfuron 제초제 개발은 매우 고무적인 사안이다.
- 저자
- P. Jeschk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66(1)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27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