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 표면 농약유동모델과 전산유체역학
- 전문가 제언
-
○ 농약은 방제대상 병해충에 대한 작용모드와 약효 및 인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잔류농약의 거동 등 모든 면에서 어느 하나 배제할 수 없는 주요 인자로 장기간에 걸쳐 개발되지만 농약 제형별 처리방법에 따라 농약사용량은 물론 약효에도 영향을 미쳐 최적의 처리방법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농약사용에는 용액을 처리대상 잎 표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은 물론 잎 표면에서의 이화학적 상호작용이나 유체역할을 규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대체 처리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본고에서는 약물운반, 액적개장성(droplet spreading), 증발, 점성 등을 고려하여 잎과 같은 타깃 표면에서의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기법으로 접근함에 있어 농약필름과 액적운동을 관리하는 3차원 Navier-Stokes 편미분방정식이 이상적이지만 이를 완전히 적용할 수 없어 이를 단순화하고 농약거동을 조사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처리방법의 가능성을 보였다.
? 이 CDF 방법의 수식골격은 간단히 기술하고 있지만 일련의 새로운 유동에 시뮬레이션은 농약유동에도 매우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잎 처리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대체 처리방법 설계에도 매우 유익할 것으로 보이지만 처리대상 각종 작물 잎은 모용이나 미세지형이 매우 복잡하여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 대부분의 농약에 대한 사용 지침서를 보면 약액이 흐르도록 분무할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운기 부착용 고압분무기는 이를 능가하여 살포되고 있어 농약 남용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으로 CDF와 병행하여 효과적인 방제기구나 접착력을 높이는 보조증량제 개발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C.R. Glas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66(1)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9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