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투자수준을 기초로 미국의 새로운 원자력 용량에서 온실가스 감소 예측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태양열, 지열, 대양 에너지, 풍력, 바이오 에너지 등 수 많은 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투자에 비한 발전량이 원자력에 비하여 너무 작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에 집중적 투자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최선책이라고 판단된다.
○ 원자력발전소의 기술 개발로 고속로, 하이브리드 원자로, 핵 융합로의 상용화와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발전소 수명 연장 운전 또는 출력 증발 등으로 안정적 전력 공급에 좀 더 많은 투자와 노력이 요구된다.
○ 재생 에너지의 개발은 지리적 여건과 광활한 지역, 생태계 파괴 등 부작용과 발전소와 최종 사용자와의 거리 등으로 현실적 여건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원자력발전은 좁은 지역, 상용자 근처에 건설 하는 장점이 있다.
○ 원자력발전소에 나오는 원자력 연료와 방사성 폐기물의 관리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방사성 폐기물 부피 감소 노력, 사용 연료의 재활용 등에도 국가 정책적 타당성 검토가 요구된다.
○ TMI,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관련자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효율적 기술 전달과 인력 관리에도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 저자
- Theodore M.Bes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31~2437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