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용 고자력 고무 인코더
- 전문가 제언
-
○ ABS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와 같은 시스템의 부스터와 마스터실린더에 전자 제어장치인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센서(wheel sensors), ECU(electronic control unit), 유압 조정장치인 HCU(hydraulic control unit),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를 감지하는 PTS(pedal travel switch)로 이루어진다.
○ ABS가 장착된 자동차는 바퀴마다 스피드센서가 달려 있어, 여기서 감지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만일 한쪽 바퀴가 잠기면 그 바퀴만 펌핑을 해줘 네 바퀴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스키드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조종력을 잃지 않으며 바퀴가 잠기지 않아 제동거리도 훨씬 짧아진다.
○ 자기 엔코더는 미소 다극 착자된 자기 드럼과 이 드럼에 근접하도록 설치된 자기 조항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빙 등의 영향을 잘 받지 않기 때문에 내환성이 좋고 고 분해능(1,000~3,000pulse/rev은 표준사양)에 고 응답성으로 구조가 간단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차량의 옆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안전 기술 `ESC(electric stability control)`의 보급을 위하여 자동차 부품 업계가 뜨거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ESC 장비의 의무화가 결정되어 신차의 보급률이 반수를 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20% 정도로 부품 메이커 등은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조기보급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는 공기압 장치뿐만 아니라 전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량자세 제어장치나 측면충돌에 대비한 사이드 커튼 에어백 등도 이미 수출용 차량에는 의무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나, 내수용에는 아직 법규가 없다는 이유로 장착되지 않아 자동차 관련 안전장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실정으로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저자
- Kiyotake Shib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4(2)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6~30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