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층 메탄가스(CBM)의 생산공: 세계적 현황

전문가 제언
○ 지하 탄층은 석탄으로 구성되고, 석탄 속에는 크고 작은 구멍, 틈새 및 공동들이 발달되었다. 그런 공간들은 물, 공기 또는 가스(주로 메탄가스)로 채워져 있는데, 공간들이 연결되어 있으면 물이나 기체가 이동하고 큰 공간에 모인다. 탄광에서는 갱도에 모여서 때로는 폭발하게 되는데 국내의 탄광들에서도 메탄가스 폭발이 많이 일어났었다.

○ 그러나 탄층 내의 메탄가스(CBM, coalbed methane)는 연료로 사용될 수 있어서 몇 나라에서 상업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 CBM의 개발과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크고 작은 공간들(mm 이하의 미세한 것들도 포함)에 들어있는 메탄가스를 어떻게 빠르게, 그리고 많이 뽑아내는가이다. 따라서 수직 또는 수평 시추공들을 뚫고, 거기에서 다시 작은 시추공들을 여러 방향으로 뚫거나 압력으로 파쇄시켜서 CBM이 잘 흘러나오게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 이 논문은 CBM층의 특성, 특히 투수율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적용되는 공완성(well completion) 유형들을 제시?설명한다. 각 유형의 방법들은 투수율에 따라 결정되지만 탄층의 구조, 수 등도 고려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주축이 되어 삼척탄전에서 CBM개발의 가능성이 조사되었다. 미국 기술진이 참여한 시추와 검사가 지난 몇 년 동안에 이루어졌는데, 지층이 심하게 습곡되고 탄층이 불안정하여서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아직까지 평가가 완료되지 못하였으므로 앞으로 더 많은 조사와 시험이 필요하다.
저자
Palmer, 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82(3)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Coal Ge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4~195
분석자
최*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