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 최근 10년 동안의 생산·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 자동차 경량화 및 고연비화는 화석연료의 고갈, CO₂등의 배기가스(exhaust gas)에 의한 환경오염의 증대에 따른 지구환경 부하를 감소하기 위해서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 전 세계적으로 차세대 자동차의 연비향상 요구와 관련하여, 경량화 측면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초경량 재료인 마그네슘합금(magnesium alloy)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일례로 독일의 폴크스바겐회사(Volkswagen Deutschland)는 2002년 자동차의 총중량의 40%를 마그네슘합금으로 채용하여 1ℓ당 100㎞를 주행할 수 있는 ‘1ℓcar’를 발표하였다.

○ 오바마 정부(Obama government)는 연비를 향상하고 배기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기술은 크게 5가지 부문인 엔진(engine), 연료시스템(fuel system), 자체하중 감소, 냉방시스템(air-conditioning system), 변속기(transmission) 부문으로 2016년까지 달성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연비기준 강화대책을 발표해 자동차 산업에 큰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중국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이 풍부한 외환보유고를 앞세워 해외 글로벌 기업의 기술력과 경영 노하우 획득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코트라(KOTRA)가 발표한 '중국의 해외 M&A 사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 기업들의 해외 M&A 목적은 종전 자원·에너지 확보에서 선진기술·경영 노하우, 브랜드확보를 목적으로 외국계 기업을 인수 합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기아자동차는 기존 카본소재(carbon material)의 타이어를 실리카타이어(silica tire)로 교체해 주행 시에 구름저항(rolling friction)을 최소화하고, 공기저항을 감소시켜주는 휠 디플렉터(wheel deflect)와 범퍼 립 (bumper lip attachment)을 장착하여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하였다. 향후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Vehicle)의 개발과 자동차 차체의 무게를 줄이는 자동차 경량화의 추진으로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한국의 자동차업계가 글로벌 1등 기업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저자
Takashi Matsu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64(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90~95
분석자
임*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