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 연구에서 비침습적 영상방법과 응용
- 전문가 제언
-
○ 다공성 물질에서 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 프로세스는 직접 관찰하는 것은 어렵다. 간접적인 계측이 다른 규모, 위치 그리고 시간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추론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침습적 영상방법(non-invasive imaging method)이 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 연구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이 해설논문은 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적 연구에 응용하는 네 가지 영상방법을 개관하였다. 이들은 UV 또는 가시광을 사용하는 광학영상, 이중에너지 감마선을 사용하는 영상, X선 마이크로 단층촬영(X-ray micro-tomography)과 자기공명영상(MRI)이다.
○ X선 방법은 3차원 자연적 다공성 매질 특성화 그리고 3차원 유체분포에서 높은 해상도와 유연성을 제공한다. MRI는 인공적인 다공성 매질에서 유체분포, 유체유동, 콜로이드 수송 그리고 반응에 대한 가장 좋은 선택권을 부여한다.
○ 이 논문에서, 이들 방법의 기본적인 이론, 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 연구에서의 응용 그리고 이들 방법의 이점과 결점을 고찰하였다. 비침습적 영상방법에 대한 완전한 방법은 없었다. 광학영상 방법은 인공적인 2차원 다공성 매질에서 유체분포, 용질과 유체유동, 콜로이드 수송과 반응 영상하기 위하여 저렴하고 쉽게 제공한다. 감마선 방법은 Darcy 스케일에서 2차원 유동분포에 대하여 가장 좋은 결과를 제공한다.
○ 국내의 오염물질의 수리지질학적 연구에서도 UV와 가시광을 사용한 광학영상, 이중에너지 감마선영상, X선 마이크로 단층촬영, MRI 등 비침습적 영상법의 개발과 응용이 활발해 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Charles J. Werth, Changyong Zhang, Mark L. Brusseau, Mart Oostrom, Thomas Bau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113
- 잡지명
-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24
- 분석자
- 장*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