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이 전력 시스템 신뢰성에 주는 영향과 수소 저장에 사용 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의 목적은 비프로그램 발전소스, 특히 풍력단지가 전력시스템 신뢰성에 주는 영향을 모사하기 위함이다. 확률모델이 어떤 수준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력, 화력발전시스템에 요구되는 2차/3차 발전 예약량에 풍력발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행되었다.
○ 이탈리아 최대 섬 중 한 섬의 전기시스템에 조정된 사례연구는 풍력생산의 과소평가로 인한 과잉발전 사건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를 보여준다. 그와 같은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ISO에 의한 실시간 중에 택해야 할 세 가지 가능한 정책이 시스템 신뢰성과 에너지 비용측면에서 모사되고 논의되었다.
○ 과잉발전 우발사건에 대처하기 위한 ISO에 의해 수행된 수소저장 사용이 다양한 풍력침투의 시나리오에서 시스템 신뢰성의 경제적 영향을 고려하고 저장장비의 회수기간을 평가하여 제안되고 분석되었다.
○ 국내에서는 영남대학교 김영신 등이 농형 유도발전기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풍력발전시스템에서 풍속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퍼지제어를 이용하여 항상 최대 전력점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가변속 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실험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퍼지제어에서는 풍속에 대한 정보가 불필요하고 발전기 출력을 직접 이용하여 발전기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최대 전력점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배터리 저장기술이 상당한 양의 재생발전을 갖는 스마트 전력망의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장차 덴마크를 포함한 각국의 전력망에서 배터리 기술이 전력망에 경제적으로 통합될 것이다. 전력망에 사용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설계된 대규모 배터리의 미래도 아주 유망하다. 어떤 풍력단지 개발에는 대규모 배터리가 통합되어 있다. 배터리 기술의 개발과 별개로 배터리를 전력망에 통합할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을 검사할 분석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Poalo pellacc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80
- 잡지명
-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9~255
- 분석자
- 신*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