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레틴의 췌장베타세포에 대한 작용
- 전문가 제언
-
○ 인크레틴은 음식의 흡수에 의해 위장관의 세포에서 생산된다. 주된 인크레틴은 GLP-1과 GIP이며 가장 특징적인 인크레틴인 GLP-1은 혈당조절에서 그 뚜렷한 효과가 밝혀졌다. 2형 당뇨병환자에서 인크레틴 효과가 장애를 받는다는 것은 2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기본으로서 인크레틴이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인크레틴이 인슐린을 생산하는 베타세포와 글루카곤을 생산하는 알파세포를 포함한 대사호르몬을 생산하는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기능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크레틴은 장에서 분비되면 특히 혈당수준이 높아질 때 인슐린을 생산하기 위해 췌장 베타세포를 자극하는 반면 인슐린의 역효과를 가진 글루카곤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 또한 인크레틴은 뇌에서 베타세포의 성장과 양을 증진시키며 위 배출을 지연시켜 영양흡수를 느리게 하고 포만감을 느껴 음식섭취를 조절하도록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이들 인크레틴(GLP-1과 GIP)은 효소인 DPP-4에 의해 급속히 불활성화 된다. 이러한 불활성화를 억제하기 위해 DPP-4억제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항당뇨병 치료제로서 GLP-1을 모방한 GLP-1아날로그가 개발되고 있다.
○ 그러나 DPP-4는 모든 세포표면에서 발현되며 면역조절, 신호변환, 세포사와 관련된 항원성 효소이므로 DPP-4억제제를 전신적으로 투여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GLP-1아날로그의 투여도 혈액을 통한 전신적일 경우 마찬가지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이들 약제의 해당 병소에만 도달할 수 있는 약제 전달시스템의 개발이므로 이 분야에 대한 국내 산학계의 집중적인 개발전략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Katsut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61(6)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560~2565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