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대사증후군 및 다이어트 소재의 시장동향

전문가 제언
○ 일본의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대사증후군 해당자 및 그 예비군이라 생각되는 사람은 남성은 약간 감소하고 여성은 증가하고 있다. 08년 4월부터 개시된 「특정건진·보건지도」도 2년이 경과되어 각 사람의 문제점이 분명히 들어나기 시작했다.

○ 체지방을 줄이려고 해도 줄일 수 없는 사람, 운동이 무리인 사람, 생활개선이 되지 않은 사람 등은 여전히 많아 건강하게 체중을 줄이기 위한 보조제품으로, 특정 보건제품을 비롯해 확실한 증거를 가진 신뢰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한 항대사증후군 및 다이어트 소재 제품 시장은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성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사람 가운데는 개선의식이 높지 않고 아무데도 손을 쓰지 않고 그대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급한 마음으로 운동하거나 무리하게 식사량을 조절한다면 반대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고 폭식하는 것과 같이 무리한 환경변화는 역효과를 일으킬 수도 있다.

○ 내장지방이 증가해 혈당치나 혈압, 중성지방 등이 높게 되어 최종적으로 동맥경화가 발생하여 위험한 상태로 되는 것이 대사증후군이지만 최근에는 동맥경화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에 활성산소나 인슐린 저항성 등 어떠한 스트레스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이 발생된다고 생각되지만 그 기작은 아직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 최근 다이어트 식품에 대한 표시규제로 보충제의 다이어트상품은 잘 팔리지 않고 있으나 일찍 일본에서 다이어트 소재로 알려져 온 기무네마 등 친숙한 이미지를 기진 소재를 배합한 제품은 안정한 수요를 갖고 있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네크틴은 인슐린 감수성에 작용해 항당뇨병, 동맥경화 억제, 지방연소 등 여러 가지 작용을 가진 것이 알려져 많은 연구가 선진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아디포네크틴에 착안한 항대사증후군 제품이 국내에서도 개발되기를 바란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45(7)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1~5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