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의 탈염 경제성 평가모델
- 전문가 제언
-
○ 급격한 인구증가와 함께 산업발전에 의해 세계적으로 물 부족현상이 점차 가중되고 있다. 지구상의 수자원에서 담수는 2.5%이고, 담수자원 가운데서 사용가능한 수자원은 32%로서 지구 전체 수자원의 0.8%에 불과한 실정이다.
○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순환되는 물을 오염되지 않게 유지하여야 하지만, 담수자원의 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수의 담수화가 필요하다.
○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에는 고도 처리방법을 통한 수원확보 외에 빗물 또는 지하수 개발 등이 있지만, 우리와 같이 연간 강수량의 60% 이상이 하절기에 집중하는 경우에는 수자원을 저장할 수 있는 댐과 보와 같은 시설이 필요하다.
○ 해수의 담수화 방법에는 역삼투, 다단증발 및 다중효용법이 있으며, 채택비율은 각각 60, 30 및 10%로 추산된다고 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다.
○ 해수담수화 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가 소요되므로, 담수화 시설과 함께 발전시설을 동시에 가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에너지원으로서는 에너지가격에 영향을 적게 받는 원자력이 유리하다고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추천하고 있다.
○ IAEA는 해수담수화 시설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DEEP 모델을 이용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건설비, 운전비 및 유지관리비가 포함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한국형 해수담수화 겸용 중소형 원자로인 스마트를 개발 중에 있으며, 인구 10만 명 규모의 도시에 적합하다.
- 저자
- K.C. Kavvadias, I. Kham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57
- 잡지명
- Desalin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0~157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